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KDC 카테고리

역사
도서 병자호란과 김화 백전전투 = The Manchu's invasion of Joseon in 1636 the battle of Gimhwa Baekjeon
  • ㆍ저자사항 태봉학회,
  • ㆍ발행사항 서울 : 주류성(주류성출판사), 2022
  • ㆍ형태사항 316 p. : 삽화, 지도 ; 22 cm
  • ㆍ일반노트 권말부록: 태봉학회 활동 및 철원군의 역사·문화 관련 동향
  • ㆍISBN 9788962464955
  • ㆍ소장도서관 갈말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구분 010000069774
낱권정보 v.4
자료실 /
청구기호
갈말_종합자료실
P911.039-태45ㅌ-4
자료상태 대출불가
반납예정일
예약 예약불가
상호대차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
010000069774 v.4 갈말_종합자료실
P911.039-태45ㅌ-4
대출불가 예약불가
상호대차서비스 신청은 대출가능 소장도서만 가능합니다.

상세정보

병자호란 중 조선군이 거둔 몇 안 되는 승전 중 하나인 ‘김화 백전전투’의 비밀을 풀다 16~17세기 동아시아 3국은 큰 변동을 겪었다. 그 직접적인 계기는 임진왜란(1592~1598)이었다. 조선 침공의 실패로 도요토미 히데요시 정권은 붕괴하고, 에도막부가 성립하였다. 대규모 구원병을 파견하였던 명은 그 몰락의 속도가 빨라졌다. 인적, 물적으로 큰 피해를 본 조선 왕조는 새로운 지배 질서를 모색하지 않을 수 없었다. 하지만 왜란으로 인한 혼란을 미처 수습하기도 전에 두 차례의 호란을 겪게 되었다. 명의 국력이 쇠약해진 틈을 이용하여 만주의 여진족은 후금을 건국하고, 명과 패권을 다투기에 이르렀다. 후금과 그 후신인 청은 배후의 조선이 친명정책을 추구하는 것을 우려하였다. 그리하여 1627년과 1636년 두 차례 조선을 침입하였다. 정묘호란과 병자호란이 그것이다. 정묘호란은 양국 간의 화의로 종결되었다. 하지만 병자호란은 1637년 1월 30일 인조가 청 태종에게 항복함으로써 끝났다. 1636년 12월 14일 한양 인근에 도착한 청군의 선봉대는 강화도로 가는 길목을 차단하는 한편 인조가 피신한 남한산성을 포위하였다. 이어 청 태종이 대군을 거느리고 남하하여 합세하였다. 남한산성에 고립된 조선 조정은 각도의 근왕병이 구원해줄 것을 기대하였다. 하지만 이들 대부분은 청군에 의해 격퇴되고 말았다. 김준룡 휘하의 전라도 근왕병이 경기도 용인 광교산에서 청군을 무찔렀지만 곧 해산하였다. 유림이 지휘하던 평안도 근왕병은 강원도 김화의 백전(栢田)에서 크게 승리하였다. 인조가 곧 항복함으로써 이들은 근왕병으로서의 임무를 다할 수 없었지만, 이 승리는 병자호란 중 조선군이 거둔 몇 안 되는 승전 중 하나였다.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