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KDC 카테고리

순수과학
도서 시간은 되돌릴 수 있을까 : 스티븐 호킹의 마지막 제자에게 듣는 교양 물리학 수업
  • ㆍ저자사항 다카미즈 유이치 지음 ;
  • ㆍ발행사항 서울 : 북라이프, 2024
  • ㆍ형태사항 304 p. : 삽화, 초상 ; 21 cm
  • ㆍ일반노트 원저자명: 高水裕一 감수: 김범준 북라이프는 비즈니스북스의 임프린트임 색인 수록
  • ㆍISBN 9791191013610:
  • ㆍ소장도서관 관전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구분 060000019929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관전_일반열람실
420-다821ㅅ
자료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예약불가 무인대출예약
상호대차 신청하기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
060000019929 관전_일반열람실
420-다821ㅅ
대출가능 예약불가
무인대출예약
신청하기
상호대차서비스 신청은 대출가능 소장도서만 가능합니다.

상세정보

책을 펼치는 순간 시간이 거꾸로 흐르는 세상이 열린다! 양자부터 우주까지 쉽게 시작해 단숨에 빠져드는 시간의 물리학 이야기 “양자중력 이론 전문가의 기발한 상상과 유쾌한 설명이 만난 책!” _김범준, 성균관대학교 물리학과 교수 “굉장히 좋았다! 읽는 동안 몇 번이나 지적 현기증이 일어났다.” _아마존 독자 서평에서 자석의 S극과 N극, 생물의 암컷과 수컷, 힘의 작용과 반작용까지. 자연계 대부분은 대칭을 이루는데 왜 시간은 한 방향으로만 흐를까? 시간에 대칭성이 있다면 미래에서 과거로 흐르는 시간도 있어야 하지 않을까? 수백 년 과학사를 뒤흔든 궁극의 질문에 스티븐 호킹의 마지막 제자가 대답한다! 저자는 영국 케임브리지대학교에서 연구 생활을 하며 천재 물리학자 스티븐 호킹의 가르침을 받은 물리학자다. 호킹의 제자답게 ‘시간은 되돌아가면 재밌다!’라는 엉뚱하고 유쾌한 생각으로 시간의 역행 가능성을 대담하게 풀어놓는다. 시간의 방향과 속도는 무엇이 결정할까? 미래의 기억이라는 것이 실제로 존재할까? 고대 아인슈타인부터 이어진 시간의 인과율부터 시간의 역행 가능성을 암시하는 시간의 양자화, 수축과 팽창을 반복하는 순환 우주까지 현재 과학의 최전선에서 일어나고 있는 흥미로운 연구 성과를 저자의 기발한 상상을 더해 소개한다. 시간 이야기는 과학 교과서가 어려운 청소년도, 기본기 없는 문과생도, 처음 교양 과학책을 읽는 사람도 물리학을 친근하게 접할 수 있는 주제다. 이 책은 일반인이 교양 지식으로 알면 좋은 물리학 핵심 개념을 시간 이야기로 엮어 설명한다. 저자가 안내하는 시간의 화살을 따라가다 보면 양자역학, 상대성 이론, 엔트로피, 블랙홀, 순환 우주까지 물리학의 기본이 되는 12가지 개념이 단숨에 이해된다.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

상세정보

시간은 되돌릴 수 있을까 - 다카미즈 유이치 지음, 김정환 옮김, 김범준 감수
자석의 S극과 N극, 생물의 암컷과 수컷, 힘의 작용과 반작용까지. 자연계 대부분은 대칭을 이루는데 왜 시간은 한 방향으로만 흐를까? 시간에 대칭성이 있다면 미래에서 과거로 흐르는 시간도 있어야 하지 않을까? 수백 년 과학사를 뒤흔든 궁극의 질문에 스티븐 호킹의 마지막 제자가 대답한다.

목차

프롤로그

제1장 인류, 시간을 자각하다
아인슈타인과 스티븐 호킹의 공통점
모든 것은 달력에서 시작되었다
요일은 어떻게 만들었을까?
시간이란 대체 무엇인가?
시간에는 여러 가지 개념이 있다

제2장 시간의 정체를 밝히다
방향: 시간의 화살은 불가역적이다
차원 수: 시간은 왜 1차원인가?
크기: 일정하지 않다
시간은 기분 나쁘다?
방정식에는 시간이 숨어 있다
방정식은 시간의 방향을 구별하지 못한다
낙하 운동도 반대 방향이 가능할까?
시간이 거꾸로 흐르는 세계는 존재할까?
엔트로피 증가의 법칙이란?

제3장 상대성 이론과 시간
빛을 독재자로 만든 특수 상대성 이론
슈퍼히어로의 시간은 얼마나 느려질까?
중력이 시공을 일그러뜨린다는 일반 상대성 이론
블랙홀에 빨려 들어간다면?
상대성 이론을 이용해 오래 살 수 있을까?
인과율은 미래를 어디까지 결정하는가?
빛의 원뿔과 시간의 화살

제4장 양자역학과 시간의 관계
기본적인 소립자는 쿼크와 전자다
원소는 어떻게 만들까?
우리는 어디에서 왔는가?
소립자의 터널 효과
소립자의 불확정성 원리
미래는 확률로만 예언할 수 있다
인과율을 무너뜨릴 수 있는가?
양자역학의 기괴한 성질① 에너지는 띄엄띄엄 존재한다
양자역학의 기괴한 성질② 관측자가 상태를 결정한다
시간도 소립자로 구성되어 있을까?

제5장 숙적 엔트로피와의 대결
영구 기관을 향한 도전
엔트로피의 탄생
볼츠만의 위대한 공적
맥스웰이 탄생시킨 도깨비
미시세계와 거시세계 사이에
열역학 제2법칙, 도깨비를 쓰러뜨리다
도깨비가 부활했다!
양자세계에서는 시간이 역행한다?

제6장 시간은 정말 1차원일까?
고대 중국에서는 시공간을 알고 있었다
우주의 온갖 것을 알 수 있는 방정식
만약 시간이 2차원이라면?
공간은 왜 3차원일까?
차원 수가 많은 세계는 안정적이지 않다

제7장 양자중력 이론과 시간
자연계에는 힘이 네 가지밖에 없다
자연계의 가장 특이한 힘, 중력
전 세계 물리학자들의 간절한 소원
초끈 이론이란?
루프 양자중력 이론이란?
두 이론 중 어느 쪽이 옳은가
시간이 사라졌다!
시간은 무지에서 탄생한다
‘아킬레우스와 거북’ 문제의 정답은?

제8장 순환 우주의 가능성
끈에서 막으로
빅뱅은 브레인의 충돌일까?
인플레이션 우주의 창세기
신에게 의지할 수밖에 없는 걸까?
순환 우주의 등장
우주가 수축하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지금의 우주가 50번째 우주라고?
순환 우주의 위기와 부활

제9장 시작이 없는 시간을 찾아서
우주는 조용해야 한다
우주항, 너란 놈은!
진공 에너지의 수수께끼
팬텀이 부활시킨 순환 우주
호킹의 허수시간 우주 235
허수시간은 어떻게 특이점을 없애는가? 238
케임브리지대학교에서의 추억 240
신이 말해 주는 답을 듣는 수학자?

제10장 생명의 시간, 인간의 시간
별의 엔트로피는 감소하는가?
생물의 엔트로피는 감소하는가?
별은 생물인가?
생명에 깃든 또 하나의 시간의 화살
인식으로서의 시간
시간의 연속성도 환상일까?
미래의 기억에 사로잡힌 사람들

제11장 누가 우주를 봤는가
두 가지 시나리오
파인만 도형이 암시하는 시간의 역행
타키온은 시간을 역행하는가?
응축 우주의 또 다른 시나리오
블랙홀이 만들어 내는 시간의 역행
우주 최대의 수수께끼 ‘인류 원리’
수수께끼를 푸는 열쇠는 시간의 역행에 있다?

에필로그
찾아보기

[인터넷서점 알라딘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