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KDC 카테고리

총류
도서 동아시아의 아카이브 비교연구 = Comparative studies of East Asian archives
  • ㆍ저자사항 곽건홍 지음
  • ㆍ발행사항 서울: 선인, 2016
  • ㆍ형태사항 254 p.: 삽화; 24 cm
  • ㆍ일반노트 권말부록: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한국) ; 중화인민공화국당안법 ; 공문서 등 관리에 관한 법률(일본 2017년 세종도서 학술부문 선정도서임
  • ㆍISBN 9788959339723
  • ㆍ상세내용 진정한 지역공존을 위해서는 잘못된 '과거사'에 대한 올바른 '청산'이 전제되어야 한다. 상호 존중의 원칙에 따라 동아시아 평화공동체를 건설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먼저 일본의 과거사 청산 노력이 전제되어야 한다. 이를 바탕으로 동아시아 3국 아카이브 간의 문제의식 공유와 공동의 기록 조사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는 곧 아카이브가 주체가 되어 과거사 청산 작업을 만들어 가는 새로운 모형이 될 것이며, 나아가 동아시아 평화공동체의 미래를 전망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 분문 중에서
  • ㆍ주제어/키워드 동아시아 아카이브 비교연구 기록관리 문서보관소
  • ㆍ소장도서관 갈말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구분 010000051758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갈말_종합자료실
024.91-곽13ㄷ
자료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예약불가 무인대출예약
상호대차 신청하기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
010000051758 갈말_종합자료실
024.91-곽13ㄷ
대출가능 예약불가
무인대출예약
신청하기
상호대차서비스 신청은 대출가능 소장도서만 가능합니다.

상세정보

『동아시아의 아카이브 비교연구』는 동아시아 3국의 아카이브 발전 경로와 특징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동아시아 기록공동체 형성 방향을 서술한 책이다. 이 책은 한·중·일 동아시아 3국의 전근대 기록관리법부터 시작하여 근현대에 3국의 기록관리 체계가 어떻게 새로 형성되고 변화되었는지를 정리하였다.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

상세정보

동아시아의 아카이브 비교연구 - 곽건홍 지음
동아시아 3국의 아카이브 발전 경로와 특징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동아시아 기록공동체 형성 방향을 서술하는 책이다. 과거 기록물의 보존이 현재의 우리에게 주는 의미를 생각해 본다면, 아카이브 체계의 지속적인 재고와 발전은 사회에 필수적이라 할 것이다.

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동아시아의 아카이브 전통과 변화
1. 전근대 동아시아의 아카이브 전통
1) 봉건 관료제와 기록 생산
2) 기록 보존 서고
3) 역사서 편찬과 사관
2. 근대 초기 기록관리 체계의 변동
1) 일본: ‘아카이브 없는’ 기록관리 체계의 형성
2) 한국: 일본 기록관리 체계의 이식
3) 중국: ‘반 식민지적’ 기록관리 체계의 형성

제3장 현대 아카이브 제도의 성립과 발전
1. 한국: ‘지체된’ 집권적 기록관리 체계와 ‘압축 성장’
1) 배태기(1948~1962년)
2) 형성기(1963~1998년)
3) 성장기(1999~2003년)
4) 발전기(2004~2007년)
2. 중국: 집권적 기록관리 체계의 형성과 고도화
1) 집권적 기록관리 체계의 성립
2) 개혁·개방과 집권적 기록관리 체계의 고도화
3. 일본: 분권적 기록관리 체계의 전개와 변화
1) 지방공문서관의 설립
2) 공문서관법의 시행과 분권적 기록관리 체계의 성립
3) 공문서관리법의 제정과 현용기록관리의 강화

제4장 동아시아의 기록관리법과 아키비스트
1. 기록관리법의 구조와 목적
1) 기록관리법의 구조
2) 기록관리의 목적
2. 국가 아카이브와 거버넌스
1) 국가 아카이브
2) 거버넌스 조직
3. 기록 생산과 관리
1) 기록의 정의
2) 기록 생산
3) 기록 이관과 폐기
4) 기록 공개
5) 벌칙 조항
4. 아키비스트 양성

제5장 동아시아의 아카이브 구성
1. 아카이브 유형
2. 국가 아카이브(National Archives)
1) 한국 국가기록원
2) 중국 국가당안국
3) 일본 국립공문서관
3. 지방 아카이브
1) 한국 지방기록관리기관: 서울시 사례
2) 중국 지방당안관
3) 일본 지방공문서관
4. 다양한 아카이브

제6장 동아시아 기록공동체 형성을 위한 과제
1. 동아시아 기록공동체 형성 방향
1) 설명책임성(accountability)
2) 거버넌스(governance)
2. 동아시아의 ‘과거사 청산’과 아카이브의 협력
3. 동아시아 기록공동체 형성 프로세스
1) ‘동아시아 기록공동체 포럼’의 조직과 단계적 접근
2) EASTICA를 넘어서: 아래로부터의 연대를 통한 기록관리 민주화

제7장 결 론

부록
1.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한국)
2. 중화인민공화국당안법
3. 공문서 등 관리에 관한 법률(일본)

[인터넷서점 알라딘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