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KDC 카테고리

철학
도서 근대 유개혁론과 유의 정체성
  • ㆍ저자사항 김순석 지음
  • ㆍ발행사항 서울: 모시는사람들, 2016
  • ㆍ형태사항 287 p.; 23 cm
  • ㆍ총서사항 한국 근대 종교 총서; 04
  • ㆍ일반노트 권말부록: 주요 친일 유림 이력과 활동 2017년 세종도서 학술부문 선정도서임
  • ㆍISBN 9791186502648
  • ㆍ상세내용 한국 근대종교의 탄생 - 유교. 조선성리학, 서양문명을 만나다. 유교의 근대 문명 수용과 변용, 대안을 탐색하다. 유교는 조선 시대 국가의 통치 이념으로 위로는 국왕에서부터 아래로는 일반 백성에 이르기까지 큰 영향력을 미쳤다. 뿐만 아니라 유교는 세계 질서를 설명해 주는 우주관이기도 하였으며, 사회질서를 규율하는 예교(禮敎) 체계이기도 하였다. 그렇지만 유교는 19세기 후반 서양과 일본 세력의 등장으로 지금까지 쇄국으로 일관해 왔던 조선이 자본주의 체제로 편입되는 대세를 막을 수는 없었다.
  • ㆍ주제어/키워드 근대 유교개혁론 유교 정체성 한국종교 예교
  • ㆍ소장도서관 갈말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구분 010000051743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갈말_종합자료실
152.21-김57ㄱ
자료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예약불가 무인대출예약
상호대차 신청하기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
010000051743 갈말_종합자료실
152.21-김57ㄱ
대출가능 예약불가
무인대출예약
신청하기
상호대차서비스 신청은 대출가능 소장도서만 가능합니다.

상세정보

한국근대종교총서(기독교, 불교, 유교, 신종교, 총론) 중 유교 편으로, 조선사회의 모든 영역을 관통하는 지배 이념이던 유교가 19세기 후반에 이르러 내적으로 자정 능력을 상실한 가운데 서양과 일본 세력의 동점이라는 외환에 직면하면서 이에 대응하는 다양한 양상을 살펴보고 ‘근대종교’로서의 유교로...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