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KDC 카테고리

문학
도서 장치와 치장 = Devices and decorations in works : 문학, 사회와 개인의 변주

소장정보

소장정보
구분 010000049112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갈말_종합자료실
809-정92ㅈ
자료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예약불가 무인대출예약
상호대차 신청하기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
010000049112 갈말_종합자료실
809-정92ㅈ
대출가능 예약불가
무인대출예약
신청하기
상호대차서비스 신청은 대출가능 소장도서만 가능합니다.

상세정보

부산대학교에서 문체교육론, 문학개론, 현대소설론, 그리고 한국현대문학사 등을 강의 중인 정해성의 『장치와 치장』. 문학 평론이 아닌 쉽고 익숙한 언어로 저자가 자신이 경험한 문학 세계를 풀어 보는 문학 에세이다. '나'도 힘들지만 똑같이 힘든 '너'를 위해 가족 이기주의에서 벗어나 일상 속에서 타인에...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

상세정보

장치와 치장 - 정해성 지음
'푸른사상 교양총서' 3권. 부산대학교에서 강의를 하고 있는 정해성의 책으로, 한국 문학에서부터 세계 문학에 이르기까지의 작품을 선정, 그에 대한 감상으로 작품의 이해를 돕고 있다. 또한 작품이 가지고 있는 문학적 특성을 우리가 살고 있는 시대와 연관시켜 폭넓게 이야기하고 있다.

목차

■ 머리말

제1장 문학, 장치와 치장
1. ‘실낙원’에서 ‘영원’으로
| 알퐁스 도데 「별」
2. ‘아웃사이더’의 반어적 서정
| 고산 윤선도 「오우가」
3. 유토피아에서 추방당한 아담의 절규
| 장정일, 「아담이 눈 뜰 때」
4. 개인적 유토피아, ‘나’를 향한 여로
| 헨리 데이빗 소로우, 『월든』
5. 사회적 유토피아, 삶의 혁명을 위한 서사
| 트리나 포올러스, 『꽃들에게 희망을』

제2장 치장으로서의 문학 1
-개인 삶의 고통으로서의 문학
1. ‘더 이상 내 것이 아닌 열망’과 ‘내 것에의 열망’
| 기형도 「빈 집」과 헤르만 헤세 「계단」
2. 죽느냐? 사느냐? 그것은 문제가 아니다
| 셰익스피어 〈맥베스〉와 정몽주 「단심가」
3. ‘기다림’을 넘어 또 하나의 ‘기다림’
| 사무엘 베케트, 「고도를 기다리며」
4. ‘나-너’를 향한 외로움의 비가(悲歌)
| 이청준, 「별을 보여 드립니다」
5. 절망의 시대, 환멸의 인간
| 정미경, 「내 아들의 연인」과 「밤이여, 나뉘어라」

제3장 치장으로서의 문학 2
-개인 삶의 안식으로서의 문학
1. 사랑의 찬가
| 박경리, 『토지』
2. ‘죽음’을 통한 ‘이분법’ 간극의 가로 지르기
| 박경리, 『토지』
3. 부조리한 존재, 인생에서 길 찾기
| 박상륭, 「로이가 산 한 삶」
4. 진정한 생을 향한 비가(悲歌)와 송가(頌歌) 사이
| 박인로, 「누항사(陋巷詞)」
5. 현시대의 ‘대교(大交)’를 꿈꾸며
| 박지원, 「예덕 선생전」

제4장 장치로서의 문학 1
-사회적 모순의 고발로서의 문학
1. ‘그녀’들의 불안, 생존 기술로의 ‘사랑의 기술’
| 정이현, 「낭만적 사랑과 사회」
2. ‘그’들의 불안, ‘몬스터’ 제조공장 ‘몬스터’ 사회
| 〈쓰리 몬스터〉 중 박찬욱 〈CUT〉
3. 능력과 태생 사이
| 드라마 〈브레인〉
4. ‘그래도’ 끝내지 말아야 할 사랑을 위하여
| 공지영, 「별들의 들판」
5. 타자와 소통할 수 있는 ‘창’의 모색
| 하성란 「곰팡이꽃」

제5장 장치로서의 문학 2
-사회적 모순의 대안으로서의 문학
1. 돼지의 잠을 깨워라
| 이문열, 「필론의 돼지」
2. ‘환상의 폭력성’과 ‘환상의 윤리학’ 사이
| 윤흥길, 「아홉 켤레 구두로 남은 사내」
3. 이성과 감성의 힘겨루기
| 고은주, 「칵테일 슈가」와 안드레이 줄랍스키, 〈샤만카〉
4. 학문과 예술의 궁극을 향하여
| 이황, 「도산십이곡」
5. 나의 꿈과 너의 꿈, 그리고 우리의 꿈
| KBS 드라마 〈성균관 스캔들〉

제6장 문학, ‘차이’의 ‘치장’들이 공존하는 ‘장치’
1. 세대 차이에 관한 단상
| ‘감춤’과 ‘드러냄’ 사이
2. ‘노망(老妄)’과 ‘로망(Romance)’ 사이
| 향가 「헌화가(獻花歌)」
3. 프로크루스테스의 침대에서 탈출한 사랑, 동성애
| 은미희, 『소수의 사랑』
4. ‘멋진 신세계’에 ‘멋진 성형’은 없다
| 김형경, 『피리새는 피리가 없다』
5. 진정한 자유와 능동적 삶에의 의지
| 존 필미어, 〈신의 아그네스〉

[인터넷서점 알라딘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