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KDC 카테고리

순수과학
도서 (뉴턴 괴테도 풀지 못한) 색의 신비
  • ㆍ저자사항 쿠와지마 미키;
  • ㆍ발행사항 서울: 한울림, 2011
  • ㆍ형태사항 272 p.: 삽화; 23 cm
  • ㆍ일반노트 쿠와지마 미키의 한자명은 '桑嶋幹', 카와구치 유키토의 한자명은 '川口幸人'임 원저자명: 桑嶋幹, 川口幸人
  • ㆍISBN 9788985777933
  • ㆍ주제어/키워드 신비 빛과색
  • ㆍ소장도서관 김화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구분 EM0000043891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김화_종합자료실
425-쿠66ㅂ
자료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예약불가 무인대출예약
상호대차 신청하기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
EM0000043891 김화_종합자료실
425-쿠66ㅂ
대출가능 예약불가
무인대출예약
신청하기
상호대차서비스 신청은 대출가능 소장도서만 가능합니다.

상세정보

이 책은 빛과 색에 대한 사람들의 '당연한'생각을 과학적인 관점에서 재미있고 쉽게 풀어내고자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무지개는 왜 생길까''바다는 왜 파란색일까''노을은 왜 붉은색일까'등등 일상생활 속에서 사람들이 느끼는 의문에 좀더 친숙하게 다가가기 위해 비유를 들기도 하고, 우리가 의외로 잘못...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

상세정보

뉴턴과 괴테도 풀지 못한 빛과 색의 신비 - 쿠와지마 미키.카와구치 유키토 지음, 이규원 옮김, 김상협 감수
빛이 없다면 어떻게 될까?, 빛이란 무엇이고, 빛과 색은 생활에 어떤 영향을 끼칠까?, 빛과 색을 이용한 첨단 과학기술은 앞으로 어떻게 발전할까? 등에 대해서 25명의 과학 전문가가 쉽고 재미있게 풀어나간다.

목차

감수의 글
독자 여러분께

1. 빛과 색이 만드는 신비한 자연현상
01. 신비로 가득한 빛과 색
02. 무지개는 왜 생길까?
03. 무지개는 정말 일곱 색깔일까?
04. 오로라는 왜 극지방에서 잘 생길까?
05. 신기루는 공기와 빛의 요술
06. 번개가 번쩍번쩍
07. 하늘은 왜 파랄까?
08. 바다는 왜 파랄까?
09. 노을은 왜 붉을까?
10. CD는 왜 무지갯빛으로 빛날까?
11. 벌레들은 왜 전등 주위를 맴돌까?
12. 태양광은 언제 지구에 도달하나
13. 태양은 태양계의 발전소 - 식물과 광합성
14. 망원경을 달고 있는 동물, 매
15. 포켓몬스터 때문에 발작을? - 광과민성 발작

2. 빛과 색의 정체를 찾아서
16. 몸의 다양한 부위로 빛을 느낀다
17. 빛이 없으면 색도 없다
18. 빛은 무슨 색일까? - 뉴턴과 괴테의 뜨거운 주장
19. 빛과 색의 삼원색
20. 우리는 색을 어떻게 식별할까 ?
21. 동물들은 색을 감지할까?
22. 색을 더하고 빼고 섞는다?
23. 눈과 카메라는 똑같은 구조일까? - 눈은 뇌의 출장기관
24. 사물을 또렷하게 볼 수 있는 이유는?
25. 갓난아이는 언제부터 색을 인식할까?
26. 같은 색이지만 각자 다르게 보인다?
27. 수술복은 왜 청록색일까?
28. 빛의 색으로 온도를 알 수 있다?
29. 세 가지 색으로 모든 색깔을 만든다?

3. 빛의 성질
30. 빛의 정체는 무엇인가
31. 아인슈타인, 빛의 정체를 찾아내다
32. 빛난다는 것은 어떤 현상일까?
33. 급하면 돌아가라 - 빛이 선택한 길
34. 빛이 보여주는 다양한 모습 - 반사, 굴절, 편광, 선광
35. 빛의 밝기는 어떻게 표현할까?
36. 스펙트럼이란 무엇인가
37. 적외선과 자외선을 찾아라
38. X선이나 전자파도 빛의 일종일까?
39. 레이저광은 어떤 빛일까?
40. 빛의 속도는 어떻게 측정할까?
41. 광속을 추월할 수 있을까?
42. 빛보다 빠른 입자가 나오는 체렌코프 복사
43. 빛에도 무게가 있을까?

4. 우리 생활 가까이에 있는 빛과 색
44. 태양의 스펙트럼에 가까운 백열전구
45. 갖가지 색의 빛을 내는 형광등
46. 차세대 조명의 대표주자 LED
47. 다양한 종류의 백열등
48. 리모컨으로 어떻게 제품을 움직일까?
49. 바코드로 어떻게 정보를 읽을까?
50. 컬러텔레비전 화면 속 검은색은 회색?
51. 컬러 액정 디스플레이의 구조
52. 컬러필름은 어떻게 색을 재현할까?
53. 레이저포인터는 안전한가
54. 불꽃놀이는 화합물의 잔치
55. 월척을 낚으려면 편광 선글라스를 껴라
56. 광택과 금속광택의 차이
57. 몸에서 빛을 내는 반딧불이와 해파리
58. 햇볕을 쬐면 왜 피부가 검게 변할까?
59. 황달에 걸리면 광선 치료를 한다?
60. 햇볕을 쬐면 알레르기가 생긴다?
61. 아침햇살에 체내시계를 맞춘다?

5. 빛과 색으로 미래를 본다
62. 빛에 정보를 실어 송신한다 - 광통신
63. 정보를 디지털화시킨다 - CD와 DVD
64. 빛으로 스위치를 켜고 끈다 - 포토크로미즘 재료
65. 빛의 파장의 벽을 뛰어넘어 - 근접장광
66. 입체적으로 보인다! 홀로그래피의 신비
67. 신세대 광공장 - 싱크로트론 궤도방사
68. 감광성수지와 축구공형 분자 C60
69. 광촉매의 이용 - 항균|공기청정에서 꿈의 에너지원까지
70. 예리한 빛의 눈, 광분석기기
71. 과학수사에 쓰이는 빛 - 루미놀 반응
72. 고화질을 구현한다 - CCD
73. 반딧불이로 세균수를 측정한다
74. 빛을 이용하여 해충을 퇴치한다
75. 레이저광으로 세포를 식별한다 - 플로사이트미터
76. 광핀셋으로 DNA에 매듭을 만든다
77. 빛으로 암세포를 공격한다

후기
집필자 소개
용어해설

[인터넷서점 알라딘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