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KDC 카테고리

사회과학
도서 (게오르그 짐멜의)모더니티 풍경 11가지
  • ㆍ저자사항 김덕영 지음
  • ㆍ발행사항 서울: 길, 2007
  • ㆍ형태사항 702p.; 23cm
  • ㆍISBN 9788987671765
  • ㆍ주제어/키워드 게오르그 짐멜 모더니티 인문정신
  • ㆍ소장도서관 갈말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구분 010000035134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갈말_종합자료실
331-김223ㅁ
자료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예약불가 무인대출예약
상호대차 신청하기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
010000035134 갈말_종합자료실
331-김223ㅁ
대출가능 예약불가
무인대출예약
신청하기
상호대차서비스 신청은 대출가능 소장도서만 가능합니다.

상세정보

독일 사회학의 창시자이자 20세기 사상계의 거장, 게오르그 짐멜! 현대적 삶의 체험을 다각적 방법으로 파헤친 모더니티의 고고학자! 게오르그 짐멜은 지성계의 주변인이었다. 아니 이방인이었다. 그는 어떠한 학파도 만들지 않았으며 그의 지적 세계는 수많은 오해를 받았다. 또한 마르크스나 베버 그리고...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

상세정보

게오르그 짐멜의 모더니티 풍경 11가지 - 김덕영 지음
게오르그 짐멜 선집의 기획자이자, 카셀 대학 사회학과 교수인 김덕영이 그동안의 짐멜 연구를 중간결산하고 향후 연구방향을 짚어보기위해 쓴 책. 독일 사회학의 창시자이자 현대적 삶의 체험을 다각적 방법으로 파헤친 모더니티의 고고학자, 게오르그 짐멜을 분석한다.

목차

서문

논의를 시작하며 - 게오르그 짐멜은 누구인가
1. 머릿말
2. 지성계의 주변인 / 짐멜의 생애
3. 모더니티의 풍경화 / 짐멜의 지적 세계

제1장 돈
1. 머리말
2. 짐멜에게는 자본주의 담론이 없다?
3. 자본주의와 문화 / 시대적 상황과 지적 맥락에서 본 짐멜의 화폐이론
4. 돈에 기반하는 문화의 가능성을 찾아서
5. 돈이 현대세계에 대해 지니는 의미
6. 돈과 영혼
7. 자본주의의 차안과 피안에서 / 짐멜과 니체
8. 돈과 영혼 그리고 자본주의와 정신 / 짐멜과 베버

제2장 사회
1. 머리말
2. 사회적 상호작용 또는 사회화로서의 사회
3. 미시냐 거시냐를 넘어서
4. 국가적인 것에서 사회적인 것으로
5. 사회적 공간, 도시와 대도시
6. 시민사회
7. 사회적 상호작용과 사회적 행위 / 짐멜과 베버

제3장 문화
1. 머리말
2. 문화사회학이 아니라 문화철학을 위하여
3. 문화란 무엇인가
4. 문화의 갈등과 비극
5. 카시러에서 짐멜로
6. 생철학적 문화이론을 위하여
7. 문화이론의 실천적 함의

제4장 개인
1. 머리말
2. 호모 듀플렉스 / 개체성과 사회성의 변증법적 관계
3. 개인주의의 두 형식
4. 인격
5. 현대세계와 개인 / 인격이 가능한가
6. 개인법칙
7. 역사인식에서의 개체성과 인격

제5장 가치
1. 머리말
2. 짐멜 가치론의 지성사적 배경
3. 가치상대주의
4. 경제학적 가치론의 차안과 피안에서
5. 심리학적 가치론
6. 주관주의적 가치론과 객관주의적 가치론을 넘어서
7. 가치, 가격 그리고 화폐

제6장 과학1 / 사회학, 철학, 미학의 관계
1. 머리말
2. 칸트의 인식론을 배경으로
3. 사회학
4. 철학
5. 『돈의 철학』 / 사회학이냐 철학이냐
6. 철학적 인식수단으로서의 미학
7. 미학적 사회학?

제7장 과학2 / 심리학
1. 머리말
2. 도덕과학의 기초로서의 심리학
3. 개인심리학과 사회심리학
4. 과학적 인식의 아프리오리 심리학
5. 돈의 심리학과 돈의 철학
6. 심리학주의의 비판과 극복
7. 제도적 차원에서 본 심리학과 철학의 관계
8. 심리학에서 인간학으로 / 짐멜의 이해를 위한 작은 제언

제8장 종교
1. 머리말
2. 종교를 통한 현실도피?
3. 사회적 상호작용으로서의 종교
4. 종교의 인식론적 접근
5. 종교의 철학
6. 현대인에게도 종교는 필요한가?
7. 짐멜의 종교이론이 지니는 이론적 - 실천적 함의

제9장 예술1 / 예술가들이 주조한 근대와 현대
1. 머리말
2. 심미주의자 게오르그 짐멜?
3. 미켈란젤로·렘브란트·로댕을 어떻게 하나로 묶을 수 있는가?
4. 예술의 형식과 내용 / 개념적-방법론적 기초
5. 미켈란젤로
6. 렘브란트
7. 로댕
8. 시간의 관점에서 본 미켈란젤로·렘브란트·로댕의 예술세계

제10장 예술2 / 미학적 모더니티의 문제
1. 머리말
2. 개인주의 미학과 사회주의 미학
3. 예술과 삶
4. 양식의 문제
5. 예술과 예술가 그리고 개인법칙
6. 사회학적 미학 / 삶의 세계의 심미화
7. 영원성의 관점에서 본 스냅사진
8. 도시의 미학적 관조 / 로마·피렌체·베네치아

제11장 노동
1. 머리말
2. 짐멜과 마르크스
3. 노동은 주체와 객체의 상호작용이다
4. 노동가치론
5. 노동에 대한 문화철학적 접근
6. 미학적 세계로서의 노동
7. 노동·규율·규율사회 / 짐멜과 푸코, 마르크스 그리고 베버

논의를 마치면서 - 포스트모더니티의 풍경화가 게오르그 짐멜?

참고문헌
인용문헌
찾아보기

[인터넷서점 알라딘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