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KDC 카테고리

문학
도서 자궁서 왕관까지 : 김종 시인의 화필

소장정보

소장정보
구분 010000068227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갈말_종합자료실
814.7-김75ㅈ
자료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예약불가 무인대출예약
상호대차 신청하기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
010000068227 갈말_종합자료실
814.7-김75ㅈ
대출가능 예약불가
무인대출예약
신청하기
상호대차서비스 신청은 대출가능 소장도서만 가능합니다.

상세정보

‘화필에세이’ 『자궁에서 왕관까지』는 시인이며 화가인 김종 작가의 문학적 상상력이 없었다면 불가능한 일일지도 모른다. 시는 물론 에세이도 시적인 요소를 가지고 있으며, 회화 또한 시적 상상력의 토대에서 그려졌다는 측면에서 문학과 인접예술의 상호 통섭은 매우 참신하고 개성이 있다. 지금껏 우리가 보아온 예술형식과는 거리가 있는 낯선 방식이다. 특히 김종 회화의 대부분이 시적 발상 차원의 화법을 구사하고 있다는 점이다. 백두산에 모여든 바위들이 천지에서 물을 마시고, 나무들 또한 백두산에 올라 천지를 감싸고 있는 모습은 우리 상상력의 범위를 넘고 있어 충격적이다. 「신들의 구수회담」에서 모든 산이 백두산 천지에 머리를 맞대고 회의하는 모습, ‘달’ 또는 ‘태양’으로 보이는 것과 더불어 발가벗고 있는 아이들의 모습은 원초적 생명성을 느끼게 한다. 오늘날 화려한 포장재의 상품과 자본 사회에서의 인간의 모습, 즉 페르소나를 쓴, 그래서 기표(基表)가 하나가 될 수도 있는 배반의 시대에 가공되지 않은 날것의 생명성과 인간의 진실을 보여준다. 시와 에세이, 회화가 격의 없이 어울리며 서로에게 상상력을 제공한다. 그럼으로써 모두가 하나 되는, 즉 시의 본질인 동일성(同一性) 추구에 핵심이 맞춰져 있다. 『자궁에서 왕관까지』라는 책의 이름처럼 분단 현실에서 자궁으로 상징되는 ‘한라산’과 왕관으로 의미화된 ‘백두산’을 껴안는 그의 이번 화필에세이집은 직접적이면서도 은유화된 목소리로 우리 시대의 하나 됨을 위한 메시지를 들려주고 있다. 더불어 그동안 김종 작가가 추구했던 문학과 미술을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보여준다는 의미가 있다. 김종 작가의 이 책이 융복합이라는 말처럼 경계를 넘어서는 예술양식에 커다란 지평을 여는 계기가 될 것을 믿어 의심치 않는다. - 강경호(시인·문학평론가)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