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KDC 카테고리

문학
도서 (중고생이 꼭 알아야 할) 한국현대소설 이야기 : 수능·논술·내신을 위한 필독서

소장정보

소장정보
구분 SE0000000715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쉬리마을_일반
813.6-채95ㅎ
자료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예약불가
상호대차 신청하기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
SE0000000715 쉬리마을_일반
813.6-채95ㅎ
대출가능 예약불가 신청하기
상호대차서비스 신청은 대출가능 소장도서만 가능합니다.

상세정보

교과서 속 한국 현대 소설의 모든 것! 시대 배경을 알고 작품을 읽으면 숨겨진 이야기가 보인다! 문학 작품을 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할까? 소설의 내용과 의의를 깨닫기 위해서는 단순히 글을 읽는 것을 넘어 작품이 집필된 시대와 작가의 삶을 알아야 한다. 작품이 집필될 때 어떤 사회 문제가 있었는지, 작가가 어떤 상황에서 이런 이야기를 썼는지를 알아야 비로소 문학 작품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다. 교과서에 수록된 작품과 문학사적으로 중요한 작품을 시대별로 엄선해 다양한 각도에서 해설했다. 작품이 창작된 시기의 역사적 사실, 관련 일화 등을 알면 한국 현대 소설의 숨겨진 의미도 파악할 수 있다. 문학 작품을 이해하기 위한 열쇠가 되는 질문들은 작품과 작가마다 다르다. 『한국현대소설 이야기』에서 각각의 질문에 대한 답을 제시하면서 독자를 재미있는 문학의 세계로 안내할 것이다. 한국 현대 소설이 지녔던 고민을 이해하고, 문학이 품은 꿈을 함께 꿔 보자.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

상세정보

한국현대소설 이야기 - 채호석.안주영 지음
교과서에 수록된 작품과 문학사적으로 중요한 작품을 시대별로 엄선해 다양한 각도에서 해설했다. 작품이 창작된 시기의 역사적 사실, 관련 일화 등을 알면 한국 현대 소설의 숨겨진 의미도 파악할 수 있다.

목차

머리말

1. ‘새로운’ 소설이 탄생하다 | 개화기~1910년대
• 지금까지의 고전 소설은 잊어라! - 이인직의 「혈의 누」
• 인간의 악행을 신랄하게 비판하다 - 안국선의 「금수회의록」
• 지식인 여성들의 밤샘 토론회 - 이해조의 「자유종」
• 자유연애와 계몽을 소설에 담다 - 이광수의 「무정」
문학 깊이 읽기 – 한국 현대 문학은 언제 시작되었을까?

2. 단편 소설, 전성기를 누리다 | 1920년대
• 조선말로 된 최초의 단편 소설 - 김동인의 「배따라기」
• “조선은 무덤이고 우리는 모두 구더기다!” - 염상섭의 「만세전」
• 유학파 지식인들은 왜 점점 무기력해졌을까 - 현진건의 「술 권하는 사회」
• 사랑으로 신분의 벽을 넘다 - 나도향의 「벙어리 삼룡이」
• “우리는 여태까지 속아 살았다.” - 최서해의 「탈출기」
문학 깊이 읽기 - 일제 강점기 문학은 ‘한국’ 문학일까?

3. 풍요로움과 다양성을 일구다 | 1930년대~1945년
• 동상이몽(同床異夢) 세 가족 - 염상섭의 「삼대」
• 교활함 속에 숨겨져 있었던 민족애 - 김동인의 「붉은 산」
• 소외된 인물을 가만히 쓰다듬다 - 이태준의 「달밤」
• “이 다리에는 우리 가족의 역사가 담겨 있단다.” - 이태준의 「돌다리」
• 눈앞에서 벌어진 일을 그대로 노트에 적다 - 박태원의 「소설가 구보 씨의 일일」
• ‘북적북적’ 청계천 변 시민들의 일상사 - 박태원의 「천변 풍경」
• 내년 봄에도 장인님과 몸싸움을 하게 될까 - 김유정의 「봄·봄」
• 가혹한 농촌 현실이 만들어 낸 ‘막된 사람들’ - 김유정의 「만무방」
• 지금이면 쉽게 이루어졌을 두 사람의 사랑 - 주요섭의 「사랑손님과 어머니」
• “한 번만 더 날아 보자꾸나!” - 이상의 「날개」
• 고향과 아버지에 대한 마음을 소설에 담다 - 이효석의 「메밀꽃 필 무렵」
• 일제 강점기에 등장한 ‘놀부’ - 채만식의 「태평천하」
문학 깊이 읽기 - 고통과 문학적 성과는 함께 가는 것일까?

4. 혼란과 상처의 기록 | 1946년~1950년대
• 방삼복은 ‘개천에서 난 용’이었을까? - 채만식의 「미스터 방」
• “전통적인 민족 정서가 섬진강처럼 흐르는 소설” - 김동리의 「역마」
• “언제나 비에 젖어 있는 인생들” - 손창섭의 「비 오는 날」
• 죽음까지 남은 시간은 ‘단 한 시간’ - 오상원의 「유예」
• 6・25 전쟁 중에도 꺼지지 않은 휴머니즘 - 황순원의 「너와 나만의 시간」
문학 깊이 읽기 – 왜 어떤 작가들은 문학사에서 사라졌을까?

5. 진정한 ‘민주화’를 위한 몸부림 | 1960~1970년대
• ‘광장다운 광장’은 결국 없었다 - 최인훈의 「광장」
• 1960년대 한국 시민의 자화상 - 김승옥의 「서울, 1964년 겨울」
• 수난의 현대사가 낳은 한국 대표 소설 - 박경리의 「토지」
• 전쟁이 세상을 질펀하게 적시다 - 윤흥길의 「장마」
• 고향으로의 ‘탈출’을 꿈꾸다 - 황석영의 「삼포 가는 길」
• 1970년대 사회에 관한 문학적 보고서 - 조세희의 『난쟁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
문학 깊이 읽기 - 문학은 지식인들만이 했을까?

6. ‘민중’이 중심에 우뚝 서다 | 1980년대
• 막차, 그리고 희망을 기다리는 사람들 - 임철우의 「사평역」
• 생명보다 소중한 것이 있을까 - 박완서의 「해산 바가지」
• 탄탄했던 ‘독재 왕국’은 왜 무너졌을까 - 이문열의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
• 소외된 소시민의 삶을 들여다보다 - 양귀자의 「일용할 양식」
문학 깊이 읽기 – 문학은 혁명을 꿈꾸는 것일까?

7. 다양성을 보듬어 안다 | 1990년대 이후
• 성인군자 못지않은 제 친구를 소개합니다 - 이문구의 「유자소전」
• 짜디짠, 지구에서 생존하기 - 박민규의 「그렇습니까? 기린입니다」
• ‘나’에서 ‘우리’로 건너가다 - 김려령의 「완득이」
문학 깊이 읽기 – 우리 문학에 노벨 문학상이 필요할까?

사진으로 보는 문학의 현장

[인터넷서점 알라딘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