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KDC 카테고리

철학
도서 당신의 삶은 의미 있다 : 나를 다시 일으켜 세우는 희망의 심리학

소장정보

소장정보
구분 YE0000002831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양지_종합자료실
180-김39ㄷ
자료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예약불가
상호대차 신청하기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
YE0000002831 양지_종합자료실
180-김39ㄷ
대출가능 예약불가 신청하기
상호대차서비스 신청은 대출가능 소장도서만 가능합니다.

상세정보

《죽음의 수용소에서》의 저자 빅터 프랭클이 말하는 ‘삶의 의미’란 무엇인가? 나치 수용소라는 최악의 상황에서 그가 통찰한 인간의 밑바닥에는 무엇이 있었을까? 국제 공인 로고테라피 전문가 김미라 교수의 ‘빅터 프랭클 어록’ 풀이!‘나는 정말로 어떤 사람일까? 나는 어떤 삶을 살 수 있는 사람일까?...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

상세정보

당신의 삶은 충분히 의미 있다 - 김미라 지음
국제 공인 로고테라피 전문가이자 미국 로고테라피 국제본부의 한국지부 대표로 활동 중인 김미라 박사는 이 책에서 빅터 프랭클의 인생어록을 중심으로 로고테라피를 쉽고 자세하게 풀어낸다.

목차

추천의 글_ 폴 엉거(정신건강의학 박사-미국 국제로고테라피본부 교수)
서문

제1장 삶의 의미

삶의 이유를 아는 사람은 어떤 어려움도 극복할 수 있다
의미는 발견하는 것이다
의미와 기쁨- 좋은 의미 vs. 나쁜 의미
쾌락, 행복, 기쁨의 차이
의미 있는 삶이란 하나의 라이프스타일이다
의미를 발견하는 세 가지 길
궁극적인 의미는 믿음의 문제다
무조건적인 삶의 의미에 대한 무조건적인 믿음

제2장 의미에의 의지

의미에의 의지는 인간의 행동을 설명해주는 1차적인 동기다
행복과 성공을 목표로 하지 마라
의미에의 의지가 억압되거나 좌절되거나 무시되었을 때
우리는 실존적 공허감을 느끼게 된다
굶주림이 우리 몸이 위험하다는 신호이듯,
지루함은 우리가 위험하다는 영으로부터의 신호다
건강한 긴장은 성장의 가장 필수적인 조건이다
갈증은 세상에 물이 있다는 가장 확실한 증거다

제3장 의지의 자유

수용소에서 누군가는 성자였고, 누군가는 돼지였다
인간은 결정하는 존재다
진정한 자유란 무엇으로부터 혹은 누구로부터 도피하는 것이 아니라
무언가를 향해 누군가를 향해 나아가는 것이다
진정한 자유란 한계가 아니라 선택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다
선택하지 않은 것도 선택이다
선택에는 중립이 없다

제4장 인간의 영

인간은 영적인 존재다
인간의 영은 절대로 아프지 않다
인간의 영은 절대 상처받지 않는다
인간의 영의 도전적 힘

제5장 자기초월

인간은 자기초월적인 존재다
패배하고 실패했다고 느끼는 바로 그곳에서
인간은 자기초월을 통해 숨겨진 삶의 의미를 발견할 수 있다
자아실현은 자기초월의 부산물이다
인간의 자기초월성은 참자아와 자아실현의 척도다
자기 자신을 잊을 수 있다면 심리치료의 절반은 성공한 것이다
자기초월을 통해 인간은 스스로를 가장 많이 도울 수 있다
과도한 의도는 과도하게 숙고하게 만들고 그것이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다(탈숙고)

제6장 자기와 거리두기

인간은 자기 자신과 거리를 둘 수 있는 존재다
거리두기를 통해 인간은 피할 수 없는 고통에 대해 어떻게 반응할지를 선택할 수 있다
감정이나 고통은 잘 기술하는 순간 더 이상 감정이나 고통에 머무르지 않는다
유머는 인간 영의 가장 강력한 무기다
우리를 미소 짓게 하는 것, 웃게 하는 것이
우리를 공포스럽게 하지 않는다(역설적 의도)

제7장 인간의 유일성(고유성)

모든 인간은 각자 그 누구와도 대체할 수 없는 고유하고 유일한 존재다
오직 사랑만이 가장 깊은 곳에 있는 그 사람만의 고유함을 볼 수 있게 해준다
인간의 모든 행동은 각각 그것만의 유일한 자취를 남긴다

제8장 양심

양심은 직관적이다
양심은 의미 발견을 위한 나침반이다
양심은 본성적이다
양심은 창의적이다

제9장 고통

삶의 3대 비극과 비극적 낙관주의
개인의 욕심과 기대가 불필요한 고통을 야기한다.
이때 불필요한 고통은 자학이다(피할 수 있는 고통)
피할 수 없는 고통
통제할 수 없는 상황(운명의 영역)과 통제할 수 있는 상황(자유의 영역)을 구분하는 것이 정신건강의 핵심이다
인과론적 세계관과 목적론적 세계관

제10장 죄책감

만약 당신이 누군가에게서 죄책감을 빼앗는다면,
그 사람으로부터 인간의 존엄성을 빼앗는 것이다(정상적인 죄책감)
비정상적인 죄책감-신경증적인 죄책감
내 삶의 대의에 온전히 반응하고 살아가지 못할 때
우리는 실존적으로 죄책감을 느낀다(실존적 죄책감)

제11장 죽음

고통과 죽음 없이 삶은 완성될 수 없다
두 번째 인생을 사는 것처럼 사십시오.
지금 막 하려는 행동이 첫 번째 인생에서 그릇되게 했던 그 행동이라고 생각하십시오
죽음을 통해 우리는 진정한 자신을 완성한다

제12장 로고힌트

로고힌트 인식하기
좋은 질문 vs. 나쁜 질문

글을 마치며
감사의 말
빅터 프랭클, 그는 누구인가?

[인터넷서점 알라딘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