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KDC 카테고리

역사
도서 민 이주사 1949~1989 : 분단의 벽을 넘어 또 다른 일로 간 민 이야기
  • ㆍ저자사항 최승완 지음
  • ㆍ발행사항 파주: 서해문집, 2019
  • ㆍ형태사항 567 p.: 삽화; 21 cm
  • ㆍISBN 9788974839802
  • ㆍ주제어/키워드 동독민 이주사 독일사 유럽사 서양사
  • ㆍ소장도서관 김화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구분 EM0000055619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김화_종합자료실
925.075-최58ㄷ
자료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예약불가 무인대출예약
상호대차 신청하기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
EM0000055619 김화_종합자료실
925.075-최58ㄷ
대출가능 예약불가
무인대출예약
신청하기
상호대차서비스 신청은 대출가능 소장도서만 가능합니다.

상세정보

독일 분단사에 기록될 동독 이탈 주민의 역사!동독사 연구자 최승완이 동독의 붕괴 원인을 밝히고자 동독 이탈 주민을 좀 더 다양한 면에서 살펴보는 『동독민 이주사 1949~1989』. 동독 이탈 주민에 대한 국내외 전문 연구 성과는 여전히 부족하고, 이들의 동독 이탈과 서독 정착을 분단 40년 역사 속에서 상세히...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

상세정보

동독민 이주사 1949~1989 - 최승완 지음
분단 40여 년간 동독을 이탈한 동독인은 많게는 약 457만 명, 적게는 약 357만 명에 달했다. 이들의 다수는 젊고, 전문직업교육을 받은 숙련인력이었다. 이 책은 1949년부터 1989년까지 서독으로 넘어 온 동독 이탈주민을 다루고 있다.

목차

들어가는 말 4

1. 독일에서 또 다른 독일로: 분단 시기 동독 주민의 이탈 행렬
동독 이탈 주민의 규모
1950년대 탈동독 행렬과 베를린 장벽
사회주의로의 체제 변혁과 대규모 동독 이탈 | 서독으로 가는 길
불법 탈출에서 합법 이주로: 베를린 장벽 수립 이후
체제 안정의 외피, 그러나 계속되는 주민 이탈 | 장벽을 넘어 또 다른 독일로 가는 길
동독 이탈 주민의 사회적 프로필과 이탈 동기
성별, 연령, 직업, 학력으로 본 탈동독민 | 개인적 이탈 동기
권력을 가진 자의 무력함: 동독 정부의 대응
이탈 주민 문제에 대한 동독 정부의 기본 인식 | 이데올로기적 해결의 늪으로
동독 붕괴의 서막: 1989년의 대규모 동독 탈출

2. 동독 이탈 주민에서 서독 시민으로
동독 이탈 주민의 수용 원칙
긴급수용법, 선 난민 후 동일국적주의 | 희망과 좌절이 교차한 수용 심사 | 완화된 수용 기준
정착에 필요한 서독의 제도적 지원
1950년대 정착지원제도 | 베를린 장벽 수립 이후 개선과 보완
서독 민간단체의 정착 지원 활동
시민사회는 의무를 저버리지 않았다 | 가장 시급했던 수용소 설립 | 다양한 방식으로 지원한 수용 심사 | 법률 전문가의 도움 | 정착지원제도 개선을 요구하다 | 물질적 지원: 성금과 물품 | 상담, 정보 제공 그리고 계몽 | 가정 방문: 이탈 주민의 목소리를 직접 듣다 | 민간단체의 활동에 미친 반공주의의 여파
동독 이탈 주민 단체의 지원 활동
성공 신화의 빛과 그림자
1950년대 성공적 통합의 이면 | 베를린 장벽 수립 이후 이탈 주민 통합 문제

3. 또 다른 이탈 행렬: 서독 주민의 동독 이주
잊힌 존재: 서독 이탈 주민
서독 이탈 주민의 사회적 프로필
서독 이탈 주민의 규모는 어느 정도인가 | 시기별로 다른 이탈 추이 | 사회적 프로필
서독 주민이 왜 동독으로 이주했을까
서독 원주민 | 동독 출신 귀환자 | 보론: 성직자의 서독 이탈
서독 주민 유치를 위한 선전 정책
대중매체를 통한 홍보 | 공개 행사에 동원한 서독 이탈 주민 | 서독 주민 유치를 위한 견학 행사
서독 이탈 주민의 수용 절차
까다로운 수용 심사 | 수용소의 일상
동독 정착: 취업과 주택 마련을 중심으로
쉽지 않은 취업 | 역시 쉽지 않은 주택 마련 | 동독 주민의 부정적 시선 | 동독 스파이의 정착 사례: 기욤과 바크스 | 다시 서독으로: 재이탈

4. 분단 독일의 가교: 동독 이탈 주민
우편을 통한 동서독의 대화
편지 왕래 | 소포 교류
동서독의 방문 교류
통일을 위한 노력: 향우회, 동향단, 중부독일인연맹을 중심으로
통일과 동독 주민의 인권 보장 요구 | 동서독의 일체성을 강조하는 문화 활동 | 평화의 교란자와 통일의 파수꾼 사이에서

나오는 말
동독 이탈 주민 문제의 연구 동향

참고 문헌
사진 출처
찾아보기

[인터넷서점 알라딘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