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KDC 카테고리

철학
도서 조선불교유신론 : 민족 지성 한용운이 제시한 한국 불교의 길

소장정보

소장정보
구분 EM0000053355
낱권정보 v.36
자료실 /
청구기호
김화_종합자료실
108-풀49ㅊ-36
자료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예약불가 무인대출예약
상호대차 신청하기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
EM0000053355 v.36 김화_종합자료실
108-풀49ㅊ-36
대출가능 예약불가
무인대출예약
신청하기
상호대차서비스 신청은 대출가능 소장도서만 가능합니다.

상세정보

《조선불교유신론(朝鮮佛敎維新論)》은 시인, 승려이자 독립운동가인 민족 지성 만해(萬海) 한용운(韓龍雲)이 집필한 불교 개혁론이다. ‘청소년 철학창고’ 서른여섯 번째 책으로, 생소한 불교 용어나 고전 문구가 나올 때마다 원서에 없는 해석과 배경지식을 병기하고 한용운이 저술한 다른 논설 자료나 시...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

상세정보

조선불교유신론 - 한용운 지음, 정은주 풀어씀
시인, 승려이자 독립운동가인 민족 지성 만해(萬海) 한용운(韓龍雲)이 집필한 불교 개혁론이다. 생소한 불교 용어나 고전 문구가 나올 때마다 원서에 없는 해석과 배경지식을 병기하고 한용운이 저술한 다른 논설 자료나 시 등도 다각도로 참고했다.

목차

‘청소년 철학창고’를 펴내며
들어가는 말

머리말

1장 서론

2장 불교의 근본과 혁신

1. 불교의 성질
2. 불교의 주의(主義)
3. 불교의 유신은 파괴가 먼저

3장 승가의 혁신
1. 승려 교육
2. 승려의 인권 회복과 생산
3. 승려의 결혼 문제
4. 승려의 단결 문제

4장 수행과 포교의 혁신
1. 참선
2. 염불당의 폐지
3. 포교

5장 사찰과 의례의 혁신
1. 사찰의 위치
2. 불교에서 숭배하는 조각과 그림
3. 불교 의례
4. 사찰 주지 선거법
5. 사찰의 관리

6장 결론

《조선불교유신론》, 불교 개혁의 상징이 되다
한용운 연보

[인터넷서점 알라딘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