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KDC 카테고리

철학
도서 춘추좌전 : 중국 문화의 원형이 담긴 타임캡슐
  • ㆍ저자사항 좌구명 지음 ;
  • ㆍ발행사항 서울 : 풀빛, 2013
  • ㆍ형태사항 376 p. : 삽화, 지도 ; 22 cm
  • ㆍ총서사항 청소년 철학창고 ; 22
  • ㆍ일반노트 원저자명: 左丘明
  • ㆍISBN 9788974745523(22)
  • ㆍ주제어/키워드 춘추좌전 중국 문화 원형 담긴 타임캡슐 청소년 철학창
  • ㆍ소장도서관 김화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구분 EM0000053341
낱권정보 v.22
자료실 /
청구기호
김화_종합자료실
108-풀49ㅊ-22
자료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예약불가 무인대출예약
상호대차 신청하기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
EM0000053341 v.22 김화_종합자료실
108-풀49ㅊ-22
대출가능 예약불가
무인대출예약
신청하기
상호대차서비스 신청은 대출가능 소장도서만 가능합니다.

상세정보

철학 고전에 담긴 지혜와 지식을 전해주는 철학시리즈 중국 문화의 원형이 담긴 타임캡슐! 철학 고전에 담긴 지혜와 지식을 전해주는『청소년 철학창고』시리즈. 청소년들이 꼭 읽어야 하는 한국, 동양, 서양의 중요 저작을 소개한다. 청소년의 눈높이에서 고전의 원문을 읽을 수 있도록 문장을 새롭게 번역하고...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

상세정보

춘추좌전 - 좌구명 지음, 김월회 옮김
청소년이 읽기 편하도록 큰 줄기는 <춘추>를 따랐으나 내용은 주제를 중심으로 재구성한 책. 원서의 본질은 살리되, 최대한 그 속에 담긴 철학과 역사적 배경 지식 등을 함께 구연함으로써 중국 역사에 낯선 청소년들도 쉽게 흥미를 느낄 수 있도록 눈높이를 맞췄다.

목차

‘청소년 철학창고’를 펴내며|들어가는 말|《춘추좌전》에 등장하는 천자와 제후의 즉위 연표|
춘추 시대 국가들|《춘추좌전》 이해를 위한 도우미

제 1 장­은공隱公(기원전 722년∼기원전 712년)
1. 시간을 기록하는 방식|2. 역사를 빌려 철학을 행하다|3. 양심과 생명 모두를 지키는 필법|4. ‘예서’로서의 《춘추좌전》

제 2 장­환공桓公(기원전 712년∼기원전 694년)
1. 봉건제 성패의 관건|2. 백성은 신의 주인 |3. 인력이 곧 국력 |4. 윗물이 썩으면!

제 3 장­장공莊公(기원전 694년∼기원전 662년)
1. 관포지교의 핵심 |2. 전쟁에 관한 다양한 표현들|3. 두려운, 그래서 병이 된 ‘오랑캐’ |4. 천자와 패자

제 4 장­민공閔公(기원전 662년∼기원전 660년)
1. ‘오랑캐’를 극복하기 위한 ‘정신승리법’|2. 예, 패자가 되는 지름길|3. 명칭의 체계와 헌법|4. 학으로 나라를 지키게 하시오!

제 5 장­희공僖公(기원전 660년∼기원전 627년)
1. 제후가 여러 여인과 결혼하는 까닭|2. 제후국의 상호 통보 체제|3. 인의 조건 : 권력으로부터 거리 두기|4. ‘병법서’로서의 《춘추좌전》|5. 예가 없으니 ‘오랑캐’라 할 수밖에!|6. 전쟁, 사람이 하는 ‘놀이’

제 6 장­문공文公(기원전 627년∼기원전 609년)
1. 개념어로 보는 춘추 시대|2. 바람직한 군주와 신하란?|3. 약자의 보루인 예|4. 쟁송제라는 국제 사법 질서

제 7 장­선공宣公(기원전 609년∼기원전 591년)
1. 인간의 조건|2. 생동감을 구현하라!|3. 인의 조건 : 문무를 겸비한다는 것의 의미|4. 말보다도 못했던 소국의 처지

제 8 장­성공成公(기원전 590년∼기원전 573년)
1. 의로움과 이로움|2. ‘문학’으로서의 《춘추좌전》|3. 판단의 근거|4. 좋은 정치란!

제 9 장­양공襄公(기원전 573년∼기원전 542년)
1. 원수를 천거하고 아들을 천거하다|2. 국제 공용어 교재로서의 《시경》|3. 오로지 강한 나라만을 좇으리라 |4. 역성혁명을 당연시하다|5. 일인지하, 만인지상의 자리

제 10 장­소공昭公(기원전 542년∼기원전 510년)
1. 법치와 덕치 그리고 예치|2. 남의 불행은 나의 행복 |3. 중원의 화제가 된 유령 소동|4. 문화적 중심지가 되기 위한 조건

제 11 장­정공定公(기원전 510년∼기원전 495년)
1. 우주의 섭리를 체현하는 숫자들|2. 오자서와 신포서|3. ‘논술 교재’로서의 《춘추좌전》|4. 복수의 시대

제 12 장­애공哀公(기원전 495년∼기원전 468년)
1. 서릿발 같은 붓끝|2. ‘삼고초려’라는 신화|3. 신화적 사유에서 인문적 사유로 |4. 기린이 잡히고 공자가 세상을 떠나다

해설《춘추좌전》, 중국 문화의 원형을 찾아가는 역사 여행

[인터넷서점 알라딘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