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KDC 카테고리

문학
도서 만약 당신이 내게 소설을 묻는다면 : | 작가 | 예술인 50인이 선정한 최고의 소설

소장정보

소장정보
구분 060000011127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관전_일반열람실
813.09-장53만
자료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예약불가 무인대출예약
상호대차 신청하기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
060000011127 관전_일반열람실
813.09-장53만
대출가능 예약불가
무인대출예약
신청하기
상호대차서비스 신청은 대출가능 소장도서만 가능합니다.

상세정보

『만약 당신이 내게 소설을 묻는다면』은 좋은 소설을 만나는 나침반 같은 책! 삶과 소설의 경계를 더듬어 우리는 지금 어디에 있는지 돌아보게 하는 책! 『만약 당신이 내게 소설을 묻는다면』은 문학을 전공하는 전국의 대학교수와 시인·작가 50명이 각자 자신의 삶에 큰 영향을 끼친 소설을 선정해 소개한...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

상세정보

만약 당신이 내게 소설을 묻는다면 - 장성수.문순태.김춘섭.송하춘.함한희.이남호.정도상 외 43명 지음
수십 년 동안 문학을 연구한 전국의 대학교수, 시인, 작가 50명이 모여 각자 자신의 삶에 큰 영향을 끼친 소설을 선정해 소개했다. 전문성이 있는 독서 에세이이며, 독자들에게 어떻게 소설을 만나야 하는지 알려주는 황금 나침반 같은 책이다.

목차

책을 펴내며 - 소설이 궁금하다, 당신이 궁금하다∥장성수
덧붙이는 글 - 나는 소설의 숲에서 시를 꽃 피웠다∥김용택

1부 소설에서 작가를 발견하다
‘60년대식’의 그 시절, 우리들의 자화상 - 김승옥의 「무진기행」·「서울 1964년 겨울」∥김춘섭
잊지 못하는 아픔, 민족의 기억 - 김원일의 『불의 제전』∥김승종
뜨거운 가슴으로 만나는 그런 사랑 - 홍석중의 『황진이』∥임명진
문화를 담은 교감의 언어 - 최명희의 『혼불』∥장일구
아이젠하워에게 보내는 멧돼지 - 윤흥길의 『소라단 가는 길』∥김규남
시골작가가 보여준 세상을 바꾸는 힘 - 서권의 『시골무사 이성계』∥최기우
개인의 상처, 모두를 치유하다 - 오에 겐자부로의 『개인적인 체험』∥고동호
아메리칸 드림의 환상과 환멸 - 피츠제럴드의 『위대한 개츠비』∥이종민

2부 소설에서 나를 발견하다
제망매가 - 황순원의 「별」∥장성수
병 속에 갇힌 새 울음 울다 - 김성동의 「만다라」∥양병호
경이로운 신천지, 소설은 그렇게 내게 왔다 - 박범신의 「덫」∥송준호
어머니란 존재와 추억의 냄새 - 문순태의 「늙으신 어머니의 향기」∥전흥남
한국 현대사의 비극과 가부장제의 슬픈 자화상 - 오정희의 「유년의 뜰」∥이경진
문득 눈이 내리면 기차가 들어온다 - 가와바타 야스나리의 『설국』∥김병용
카프카는 내 친구, 제인 에어는 내 사랑 - 프란츠 카프카의 「변신」, 샬롯 브론테의 『제인 에어』∥최전승
내면의 대자유, 어떻게 발견할 것인가 - 니코스 카잔차키스의 『그리스인 조르바』∥복효근
사랑, 그 먹먹함에 대하여 - 카슨 매컬러스의 『슬픈 카페의 노래』∥김정호
전쟁과 혁명의 소용돌이에 휩쓸려 들어간, 시간 그리고 사람들- 미하일 숄로호프의 『고요한 돈 강』∥곽병창

3부 이 소설을 말한다
불경스러움 너머를 열망하던 짜릿한 글쓰기 - 김만중의 『구운몽』∥이상구
전라도 말로 읽어야 제 맛이다 - 완판본 한글고전소설 『열여춘향슈졀가』∥이태영
작가의 삶도, 작품도 한국문학사의 살아 있는 고전(古典)이 되었다- 홍명희의 『林巨正』∥정하영
소설독법의 길을 찾아서 - 김유정의 「만무방」∥우한용
고난의 기억과 생명의 발양 - 허준의 「잔등」∥송기섭
폭력의 시대에 대한 성찰적 질문 - 홍성원의 『남과 북』∥윤석달
아직도 살아서 떠도는 ‘광장’의 이명준 - 최인훈의 『광장』∥송하춘
땅과 역사와 인간의 교향곡 - 박경리의 『토지』∥김저운
상상력으로 건져 올린 역사적 현실 - 현기영의 『변방에 우짖는 새』∥한창훈
엄정하게 평가해야 용서와 화해가 가능하다 - 조정래의 『태백산맥』∥문순태
미국인이 생각하는 지행합일의 전형 - 너새니얼 호손의 「큰 바위 얼굴」∥김준옥

4부 나는 이렇게 읽었다
‘공간적 소설’ 읽기 - 최명익의 「심문(心紋)」∥최시한
‘초봉’의 운명에서 보는 식민지 자본의 부랑(浮浪) - 채만식의 『탁류』∥김용재
정교한 소설 장치와 슬픔의 속살 - 이태준의 「밤길」∥고형진
자연과 인간의 조화, 그 서정적 미학 - 이효석의 「메밀꽃 필 무렵」∥임희종
빛과 그늘, 소설의 눈이 향하는 자리 - 황순원의 「과부」∥이남호
밥의 현실과 질서, 그리고 욕망의 세계 - 양귀자의 「일용할 양식」∥서정섭
인간의 구원과 삶의 진실을 향한 소설의 집념 - 이승우의 『에리직톤의 초상』∥임환모
우리의 사냥터에 놓인 한 떼의 폭력에 관한 확인 - 이병천의 『저기 저 까마귀떼』∥문신
소설이면서 또한 문화의 거대한 보물 창고 - 조정래의 『아리랑』∥윤영옥
상처를 치유하는 여정 - 신경숙의 「부석사」∥송명희

5부 소설은 늘 우리 곁에 있다
탁류, 일제강점기의 조선인을 이야기하다 - 채만식의 『탁류』∥변화영
다시 개인과 공동체를 고민한다 - 최인훈의 『광장』∥김흥수
실향민보다 더 깊이 고향을 잃은 사람 이야기 - 이문구의 『관촌수필』∥김상조
색(色)을 바라보는 그 마음이 공(空)하다 - 박상륭의 『죽음의 한 연구』∥정도상
다시 생각해 본 한국 여성들의 신교육 프로젝트 - 박완서의 「엄마의 말뚝」∥함한희
내 인생의 전환점, ‘태백산맥’ - 조정래의 『태백산맥』∥윤석민
모든 불행한 이들에 대한 연민과 연대 - 황정은의 『百의 그림자』∥김선경
인생의 변화구에 대한 물음표 - 정유정의 『7년의 밤』∥김자연
같이 울어 주는 마음 - 윤정은의 『오래된 약속』∥장미영
그가 미처 쓰지 못한 이야기 - 김연수의 『원더보이』∥장동규

[인터넷서점 알라딘 제공]